[뉴스특보] 신종코로나 4명 추가 확진…2명 첫 3차 감염 추정<br /><br /><br />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국내 확진자가 이틀 새 7명이 늘어 전체 확진자 숫자가 11명이 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 2차 감염자에 이어 3차 감염으로 추정되는 사례까지 발생하면서 지역감염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백순영 가톨릭의대 교수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 환자가 오늘 하루 동안만 5명이 추가됐습니다. 오늘 오전 28살 한국인 남성이 7번째 환자로 확인된 데 이어 오후에 4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건데요. 언제, 어떻게 확인이 된 겁니까?<br /><br /> 특히 이 가운데 2명은 2차 감염자인 6번째 환자의 가족으로 확인이 됐는데요. 사실상 첫 3차 감염 사례로 추정되는데요. 2차, 3차 감염이 확산될 가능성이 커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6번 환자의 딸은 바이러스 검사 결과 음성이 나왔습니다. 딸이 어린이집 교사로 알려지며 혹시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까지 감염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진 바 있었는데, 안심해도 되는걸까요?<br /><br /> 국내에서 추가 환자가 대거 발생하고 3차 감염자까지 등장한 상황입니다. 이런 추세라면 4차, 5차 감염 발생도 가능하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? 앞으로 접촉자의 범위나 숫자도 늘어날 텐데 확산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게 아닐지 우려가 됩니다.<br /><br />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치사율은 낮지만, 사스보다 전파 속도가 더 빠른 만큼 슈퍼전파자에 대한 우려가 훨씬 큰 상황인데요. 2차 감염의 시작이 된 3번 환자, 또 3차 감염으로 이어진 6번 환자가 '슈퍼전파자'일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특히 6번 환자는 강남구 식당에서 친구인 3번 환자와 식사를 했음에도 밀접접촉자가 아닌 능동감시 대상자로 분류됐습니다. 이 때문에 환자 관리가 허술했다는 비판도 있는데요. 밀접접촉자 기준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확진자가 다녀간 음식점과 영화관 등은 현재 영업을 중단한 채 방역작업을 하고 있습니다. 방역 작업이 끝나면 가도 안전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한편, 오늘 전세기편으로 김포공항에 도착한 중국 우한 교민 368명 가운데 18명이 발열 등 의심증상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확진 여부는 내일 오전에 나올 것으로 보이는데, 중국에서 출국한 이후 증상이 나타난 원인을 뭐라고 봐야할까요?<br /><br /> 아직 우한에 남아있는 교민들의 귀국을 위해 오늘 전세기 1대가 김포공항을 출발했고요. 교민 350명 정도를 태운 뒤 내일 오전 돌아올 예정입니다. 이번에도 거의 모든 좌석을 채워 탑승해야 할 텐데, 오늘처럼 추가 유증상자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겠죠?<br /><br /> 세계적으로 확산 추세가 수그러들 줄 모르고 있습니다. WHO는 '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'를 선포했는데요. 이전과 어떤 점이 달라졌습니까?<br /><br /> 이미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상태에서 비상상태를 너무 늦게 발표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요?<br /><br /> 오늘부터 신종 코로나를 신속히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검사법이 됐습니다. 검사 시간이 확 단축됐다는 것에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. 발병을 진정시키는데 효과가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